- 통신이 이뤄지는 가장 근원적인 지점
- 관련 4가지 키워드 :
이더넷
, 이더넷 프레임
, 통신 매체
, 네트워크 장비
이더넷(Ethernet)
- LAN 내의 호스트들이 올바르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기술들 중 대표적인 예시
- 통신 매체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주고받는 데이터(프레임) 형식 등이 정의된 기술
- 현대 대부분의 (유선)LAN은 이더넷을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음

이더넷 표준
- 이더넷은 IEEE 802.3이라는 이름으로 국제 표준화된 기술
- 통신 매체를 비롯한 네트워크 장비들이 이더넷 표준을 준수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컴퓨터가 각기 다른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형식의 프레임을 주고받고 통일된 형태로 작동
- 2가지 기억해야할 점 :
- 오늘날의 (유선)LAN 대부분이 이더넷 표준을 따르기 때문에 대다수의 LAN 장비들이 특정 이더넷 표준을 따름
- 이더넷 표준이 달라지면 통신 매체의 종류를 비롯한 신호 송수신 방법, 최대 지원 속도도 달라질 수 있음
이더넷 프레임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주고받는 프레임
오늘날 (유선)LAN은 대부분 이더넷을 기반으로 구현되어있기에, 사실상 ‘프레임’이 이더넷 프레임을 지칭한다고 보아도 무방. 프레임은 프리앰블, 수신지 MAC 주소, 송신지 MAC 주소, 타입/길이, 데이터, FCS(총 6가지 필드)로 구성됨

유무선 통신 매체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한 다양한 네트워크 하드웨어(통신 매체와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내용
- 통신 매체는 모든 성능의 기본이 되는 경우가 많음 : 호스트가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해도, 연결 매체의 성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아무런 효용이 없기 때문
유선 매체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