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1문제 : 총 64점
주장과 근거, 원인 및 결과, 사실과 해석을 구분할 줄 알고 이에 근거하여 글을 쓰거나 읽을 수 있는 고도의 인지적 사고능력
좁은 의미의 논리적 사고
모순이 없고 일관된 사고
논증적 사고
전제와 결론, 주장과 이유의 관계를 따지는 사고
비판적 사고
더욱 폭넓은 맥락에서 이뤄지는 사고(좁은 의미의 논리적 사고 + 논증적 사고를 포함하는 사고)
육하원칙
증명하기 위한 일
하나의 주된 주장을 담은 명제와 그것을 지지하는 근거, 또는 이유를 담은 명제들의 집합
연역 논증
결론이 진리
라는 것을 밝히기 위한 증명적 논증법
전제가 참이면 결론도 참
임을 필연적으로 보장해주는 논증법
일반적으로 참인 사실
을 가지고 타당한 논증
을 통해 하나의 개별적인 사실
을 이끌어낼 때 사용
귀납 논증
여러 가지 경우를 통해 결론을 도출
하는 비증명적 논증법
논문, 논설문, 설명문 등의 특징이 내재된 것
어떤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전문적이고 학술적 방법으로 밝히는 글
어떤 주제에 대해 설득력 있는 논거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논리적으로 전개한 글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어떤 사실이나 이치를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한 글
지적 자원
내면의 지적 정보들(전공 지식, 용어, 개념 및 적용사례, 실태 및 통계 등)
주로 독서를 통해 자신의 내면에 축적된 지식과 정보
언어 능력
주장과 근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언어적 능력(문법, 논리, 표현 등) 정확한 문장구사, 적절한 용어 및 어휘 사용, 문장 기술 규칙, 논리적 연결과 일관성, 적절한 문체와 수사 등에 대한 능력
구성 역량(글의 체계적 - 논리적 구성 역량)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체계화할 수 있는 능력 글의 전체 틀을 어떻게 구성하고 자료와 주장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능력
논리적 사고에 기초한 논술은 5가지를 갖추어야한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 중 하나는 “사유(생각)한다”는 것. 사유(생각)를 서로 전달하는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것 → 언어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 의사소통은, 말과 문자, 몸짓, 대화, 토론, 신문이나 책 읽기, 텔레비전 시청, 영화관람, 키스 행위까지도 포함
의사소통은, 인간 사회를 가능하게 한 매개체이자 관계망 → 말과 글을 제대로 구사하는 능력은 계속해서 배우고 가다듬어 나아가야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능력 → 사고나 의견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전달하는 글쓰기의 중요성 증대
현대는, 정보전쟁의 시대
정보 총알을 자기 것으로 만든다 : 정보 읽기와 정리에 관계되는것
자기 총을 갖는다 : 자기 표현 능력을 갖는 것
과녁을 명중하는 능력을 갖는다 : 체계적인 구성능력
사지선다형과 같은 사고의 폭을 제한하고 표현력을 마비시키는 형식의 시험에 시달려 와서 어려워졌다
스스로 하는 수 밖에.. 무엇보다도, 자기표현과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해야함 일기, 편지, 리포트같은 과제 등등 현재 자신의 여건에서 활용하면 됨
과거와 미래의 사람들까지 아울러 모두가 함께 공유하는 공통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