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논설문, 설명문 등의 특징이 내제된 것이다
<aside> 💡 어떤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방법으로 밝히는 글
</aside>
<aside> 💡 어떤 주제에 대해 설득력 있는 논거를 바탕으로 자기의 생각이나 주장을 논리적으로 전개한 글
</aside>
<aside> 💡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어떤 사실이나 이치를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한 글
</aside>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능력, 표현력, 문장력과 어휘력, 상식과 전문지식 등을 기초로 하는 종합적인 글이라는 점에서 볼때, 지적 자원, 언어 능력, 구성 역량 3가지로 볼 수 있다.
<aside> 💡 내면의 지적 정보들(전공 지식), 용어와 개념 및 적용사례, 실태와 통계 등을 말한다. 이는 음식 재료가 있어야 음식을 할 수 있는 점과 비슷 지적 자원은 주로 독서를 통해 자신의 내면에 축적된 지식과 정보를 말한다
</aside>
<aside> 💡 **주장과 근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언어적 능력(문법, 논리, 표현 등)**이며, 음식재료가 있더라도 요리법을 모르면 맛있는 음식을 만들기 어렵다는 점과 비슷 정확한 문장구사, 적절한 용어 및 어휘 사용, 문장 기술 규칙, 논리적 연결과 일관성, 적절한 문체와 수사 등에 대한 능력을 의미한다.
</aside>
<aside> 💡 자기 생각과 의견을 체계화할 수 있는 능력 이는 어떠한 음식 재료를 어떻게 얼마나 배합할 것인가와 비슷하다 글의 전체 틀을 어떻게 구성하고 자료와 주장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능력을 의미한다
</aside>
논술은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글쓰기로, 설득을 하기 위해서는 현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논리적이고 비판적 사고력이 필요하다. 논리적 사고가 빠져있는 논술은 농증적 글쓰기가 아니며, 다른 글쓰기와 구별되지 않음
논리적 사고에 기초한 논술은 명료성, 분명함, 정확성, 설득력, 독창성(5가지) 를 갖추어야한다
논리적 사고를 함으로써 그 글은 명료성을 갖춘다. 글의 명료성은 논증적인 글이 갖추어야하는 기본이다
논리적 사고를 통해 논술의 분명함이 향상된다
바르고 정확하게 말하기
같은 말을 하더라도 어떤 상황에서 누구에게 했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독자와 상황을 고려해 쓴 글은 설득력이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이미 알려진 정보는 아무리 응용해도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누구나 아는 해결책은 논증의 무게가 약해진다
논술은 생각하는 힘 창의적 사고력이 필요하다(생각하는 힘을 계발하기 위해)
창의성이 엉뚱하고 기발한 주장만 나열하는 것이 아님 주어진 문제에 자신의 주장을 펴기 위해 근거와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주제와 연결하는 농증 방식 이 독창적이면 창의적 사고력이 발휘된다.
<aside> 💡 Sound Body(건강한 육체) + Sound Mind(건전한 정신)
</aside>
창의적 사고를 통해 생각의 깊이와 폭이 넓어진다
‘’을 통해 표현력이 다양해진다
‘’를 통해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이는 참신한 관점으로 귀결된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