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설계 : ERR Diagram , Relational Database Model , Normalization

EER 모델

Entity Relation Model

Entity : 시스템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객체 Relation : 객체들 사이의 연관성

시험에서 주는 내용을 토대로 알맞게 모델을 그려내셔야 합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밑에 과정들은 한 번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험에서 주는 내용을 토대로 알맞게 모델을 그려내셔야 합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밑에 과정들은 한 번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계형 모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활용해 표현

각 테이블은, Relation : 여러 속성(attribute)들의 모임으로 정의, 테이블 열(column) 머리 부분에 표시 테이블의 각 행은, Tuple : 연관된 데이터 값들의 모임, 실세계의 엔티티나 관계를 나타냄

스크린샷 2024-05-29 오후 4.43.00.png

매핑(1단계)

관계는 우선 생각하지말고, 각 엔티티들의 데이터 타입부터 생각해줍니다.

스크린샷 2024-05-29 오후 4.45.45.png

매핑(2단계)

두 엔티티 타입이 binary(이차) 관계 타입으로,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가지면, 이 관계 타입은 두 엔티티 타입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음 (만약 참여 제약 조건이 필수인 엔티티 타입이 있으면, 필수인 엔티티 타입에 관계 타입을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


직원과 부서는 binary(이차) 관계..
직원의 입장에선, 부서를 manage해도 되고, 안 해도 됩니다.
부서의 입장에선, 해당 부서를 누군가가 반드시 manage가 포함되어야합니다(Mandatory)
→ 매니지 테이블을 부서 테이블에 넣어준다.

직원과 부서는 binary(이차) 관계.. 직원의 입장에선, 부서를 manage해도 되고, 안 해도 됩니다. 부서의 입장에선, 해당 부서를 누군가가 반드시 manage가 포함되어야합니다(Mandatory) → 매니지 테이블을 부서 테이블에 넣어준다.

Untitled

매핑(3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