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에서의 **
게이트웨이
**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정확히는 segment)에서 다른 네트워크(인터넷 등)로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거점 자동차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통과하는 톨게이트(tollgate)와 유사한 개념
톨게이트
변환기
라우터
두 컴퓨터(node)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려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함 즉,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두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 주는 변환기가 필요 이때, 게이트웨이가 변환기 역할을 수행
라우터도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한다는 점에서 게이트웨이와 상통(다만 게이트웨이는 라우터보다 포괄적인 개념) 즉, 게이트웨이를 라우터라고 볼 수도 있음
<aside> ❓
라우터는, 네트워크 장비의 일종으로, 패킷(네트워크 전송 데이터의 최소 단위)을 다른 네트워크로 보내주는(forward) 역할 +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
</aside>
거치는 게이트웨이의 수
**를 **홉 카운트(hop count)
**라고 함**IP 주소와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만 있어도 주변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 (다른 네트워크 구역으로 나갈 필요가 없기 때문)
ex. 192.1168.0.1 ↔ 192.168.10.2
**게이트웨이(라우터 등)**가 필요하며,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와 함께 게이트웨이 주소까지 설정해야함
ex. 192.168.0.1 ↔ 172.16.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