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이 글은 우선 NodeJS와 Git이 노트북에 깔려있다는 전제하에 진행되므로 설치 이후 읽어주세요
</aside>
먼저 짧게 요약해본다면
<aside> 💡 git
github
그럼 이제 둘에 대해 좀 더 풀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Version이라고 생각하면, ver1, ver2, ver3처럼 업데이트 된 “버전”을 생각하고 되실 겁니다.
맞습니다. git은 “버전”을 관리하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버전 관리는 굳이 git을 통해서만 이뤄질 이유가 없습니다
우리가 대학교 팀플을 수행할때, PPT자료를 나눠서 만든다고 예를 들어보면
메일을 통해서 순차적으로 진행될때, 다음 수행자에게 자료를 ver몇 ← 이렇게 전송해주면서 최종 버전에 ver최종 ← 이렇게 하면, 이것도 버전 관리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근데 우리가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했을때, 팀마다 6~7명씩 붙어서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전 사람 업무 기다려주면서 수행을 할까요?
그것도 간단한 업무도 아니고, 몇 시간씩 잡아먹는 코드 짜는 업무인데 말이죠
git은 이렇게 직렬적으로 수행되는 업무방식에서 벗어나, 병렬적으로 코드를 작성해가면서 버전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지금부터 그럼 합치거나 내용을 분리하거나 뭐 구체적인 작동 방식이 궁금해질텐데, 그냥 추상적인 개념만 인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