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네트워크 크기와 호스트 수에 따라 주소를 나누기 위한 규칙
우선 IP는, 8bit씩 4자리로 이뤄진 32자리 이진수 구성됨. 이 가운데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주소이며 호스트 주소는 어디까지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음. 이때, Class를 알면 파악 가능
<aside> 🥕
IP주소는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같고 호스트 주소는 서로 달라야 통신이 가능하다는 규칙 존재
</aside>
네트워크는 A에서 E까지 레이블이 지정된 여러 클래스로 분류(D,E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음)
<aside> 🥕
IP 주소를 특정 범위와 용도에 따라 그룹화한 것
</aside>
2^24 - 2개
2^16 - 2개
2^8 - 2개
<aside> 🥕
호스트 비트 수가 2개 빠지는 이유?
네트워크 주소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사용 불가
</aside>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사용
따라서, 현재는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기반의 네트워킹 방식이 도입됨
참고자료